엘라 핏제랄드 (Ella Fitzgerald : 1917.04.25 – 1996.06.15)

ⓒ Herman Leonard

행복한 삶을 그리며 노래했던 재즈사상 최고의 디바

빠른 속도에서도 정확한 발음, 3옥타브를 오가는 폭 넓은 음역, 깨끗한 톤, 그리고 루이 암스트롱에게서 전수받았다는 색소폰이나 트럼펫 솔로에 버금가는 스캣 솔로. 엘라 핏제랄드의 뛰어남을 이야기할 때 언급되는 것들이다. 실제 지금도 그녀의 기교를 넘어서는 보컬은 아직 없는 것 같다. 아류는 있을지 몰라도. 재즈 보컬이 되고 싶다면 제일 먼저 그녀의 노래를 듣고 따라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완벽한 기교가 꼭 그녀의 인기를 모두 설명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실 기교에 대한 매료는 재즈를 어느 정도 듣고 난 후에 일어나는 것이다. 나도 마찬가지. 그녀의 앨범을 여러 장 듣고 나서야 그녀의 노래에 담긴 기교적 매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재즈라 생각하기 전에 마냥 흥겹고 유쾌한 분위기에 끌려 그녀의 노래를 듣고 따라 불렀다.

그렇다. 그녀의 인기는 행복하고 긍정적인 정서에 있다고 나는 생각한다. 그녀의 노래에서는 우울이나 슬픔을 발견하기 힘들다. 물론 그녀도 느린 템포의 발라드 곡들을 노래했다. 하지만 어두운 정서에 빠지는 대신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 낭만에 대한 믿음을 담아내곤 했다. 그리고 무엇보다 빠르고 경쾌한 곡에서 그녀의 매력들-기교를 포함한-이 더욱 빛났다.

밝은 분위기에서 빛나는 그녀의 매력은 그녀와 함께 큰 사랑을 받고 있는 빌리 할리데이와 대조되는 것이다. 알려졌다시피 빌리 할리데이는 자신의 고통스러운 삶에 걸맞은 슬프디 슬픈 노래로 감상자를 울리곤 했다. 따라서 깊은 슬픔이야말로 빌리 할리데이를 규정하는 매력이었다.

빌리 할리데이와의 대조적인 분위기 때문일까? 나는 엘라 핏제랄드가 실제 삶에서도 행복했으리라 생각했다. 그녀의 노래처럼 모든 일들이 즐거우리라 생각했다. 그런데 2000년이었던가? 프랑스 파리 체류 시절 우연히 TV를 통해 그녀의 음악을 조망하는 다큐멘터리를 보게 되었다. 전체는 아니고 일부를 볼 수 있었는데 오랜 시간 그녀의 피아노 반주자로 함께 했던 토미 플라나간이 부양의 책임을 진 조카들-아예 자식으로 입양했다고 한다- 때문에 그녀가 당뇨와 그 합병증으로 쉬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노래를 계속 해야 했다는 인터뷰가 나왔다. 사실 그녀 정도의 인기면 모아 놓은 돈이 상당했을 텐데 실제 사정은 그렇지 않았던 모양이다.

이를 계기로 살펴본 그녀의 삶은 예상만큼 행복한 것이 아니었다. 1917년 버지니아 주에서 태어난 그녀는 이혼한 어머니 밑에서 커야 했으며 그 어머니마저 그녀의 나이가 15세가 되었을 때 세상을 떠났다. 그래서 고아원과 아주머니 집을 오가며 생활해야 했다. 학교도 중단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할렘에 위치한 아폴로 극장의 신인 보컬 경연대회에서 16세의 어린 나이로 우승하면서 본격적인 노래를 시작할 기회가 생겼을 때는 미성년자였기에 직접 계약할 수도 없었다.

결혼 생활도 그리 성공적이지 못했다. 그녀는 공식적으로 알려진 두 번의 결혼과 한 번의 비공식적인 결혼을 했다. 그런데 그 결혼 생활 모두 그리 행복하지는 않았던 것 같다. 그나마 베이스 연주자 레이 브라운과의 두 번째 결혼이 6여 년간 지속되며 안정적이었던 것 같은데 각자의 음악 활동으로 인해 실제는 그렇지 않았던 것 같다.

한편 그녀의 노래를 들으면 그녀의 성격이 활달, 쾌활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되는데 실제의 그녀는 상당히 내성적이었다. 그래서 다른 밴드 멤버들과 함께 외출하는 경우가 드물었다고 한다. 그저 노래를 부르고 다음 공연을 위해 준비하는 것이 하루의 대부분을 이루었다고 한다. 그녀가 루이 암스트롱을 비롯하여 조 패스, 카운트 베이시, 듀크 엘링턴, 오스카 피터슨, 로이 엘드리지 등과 함께 하면서 콜 포터, 로저스 & 하트, 어빙 벌린, 거쉰 형제, 해롤드 알렌, 제롬 컨, 자니 머서 등 스탠더드 재즈 작곡가들의 곡을 거의 모두 섭렵할 수 있었던 것은 이러한 노래에의 헌신 때문이 아니었나 생각된다. 이렇게 생각하니 그녀의 성격이 조금 더 외향적이었고, 그래서 다른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즐겼다면 그 다채로운 레퍼토리와 뛰어난 해석을 만날 수 없었을 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튼 빌리 할리데이만큼은 아니더라도 보통을 넘어서는 근심과 걱정을 그녀 또한 안고 살았다. 그래서 그녀가 그리도 유쾌하게 노래할 수 있었다는 것이 경탄으로 다가온다. 그녀는 자신의 실제 삶과 성격을 숨기고 싶었던 것일까? 그래서 연기를 했던 것일까? 나는 그녀가 자신의 삶의 어두운 부분을 극복하려는 마음으로 노래했다고 생각한다. 그러니까 빌리 할리데이가 구원을 요청하듯 자신의 슬픔을 노래를 통해 드러냈다면 엘라 핏제랄드는 스스로 이를 극복하려 노래했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녀의 밝은 노래는 감상자를 위로하고 용기를 주기 위한 것 이전에 자신을 치유하기 위한 것이었다 하겠다. 어쩌면 긍정적인 생각이 긍정적인 결과를 낳는다는 마음으로 노래를 했던 것일 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다른 사적인 생활은 뒤로 하고 노래를 연습하고 공연하기를 멈추지 않았던 것이 아닐까?

행복의 의지를 담은 노력과 노래 때문일까? 그녀의 음악적인 삶만큼은 다른 누구보다 화려했고 성공적이었다. 아폴로 극장 신인 보컬 경연 대회에서의 우승을 계기로 드럼 연주자이자 밴드 리더인 칙 웹의 밴드에서 노래를 하게 된 이후 디지 길레스피를 비롯한 여러 연주자와의 협연은 찬사를 받았고 버브 레이블을 중심으로 한 앨범 활동은 대부분 큰 사랑을 받았으니 말이다. ‘노래의 영부인(First Lady of Song)’, ‘재즈의 여왕’이란 애칭은 바로 그녀의 이러한 성공적 활동을 증명한다.

삶이 힘들 때, 우울할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음악을 듣곤 한다. 그럴 때 엘라 핏제랄드의 노래를 들어보기를 권한다. 특별히 노력하지 않아도 그녀의 노래에 담긴 밝은 힘이 마음 속 어둠을 몰아내는 것을 느끼게 될 것이다. 아니 적어도 그 화려한 노래를 듣느라 슬퍼하고 우울해할 겨를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그녀의 후배들은 화려한 스캣 등의 기교가 아닌 정서적인 부분에서 더 많은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이 성격이나 삶의 자세와 관련되어 있기에 쉬운 일은 아니겠지만.

대표 앨범 

efElla & Louis (Verve 1956)

수 많은 좋은 앨범을 남긴 엘라 핏제랄드이기에 그 중 석장의 앨범을 고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도 루이 암스트롱과 함께 했던 이 앨범은 꼭 포함시켜야 하지 않을까 싶다. 오스카 피터슨 쿼텟의 연주에 맞추어 노래하면서 그녀는 특유의 낭만성을 유감 없이 드러낸다. 게다가 그녀만큼이나 유쾌한 정서가 매력인 루이 암스트롱과 함께 했기에 그 밝음은 더욱 더 빛을 발한다. 루이 암스트롱과의 듀엣은 대중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그래서 두 사람은 이듬해 <Ella & Louis Again>을, 다시 1년 뒤에는 <Porgy & Bess>를 녹음했다. 이들 앨범도 같이 들어볼 것을 권한다.

Sings the Cole Porter Song Book (Verve 1956)

엘라 핏제랄드는 버브 레이블에서 앨범들을 녹음하면서 유명 재즈 스탠더드 작곡가들의 곡들을 차근차근 정리한 앨범들을 녹음했다. 그 앨범들은 동료 및 후배 보컬들이 본받을만한 스탠더드 중의 스탠더드가 되었다. 따라서 이들 앨범들 또한 들어볼 필요가 있다. 그래도 제일 먼저 듣는다면 ‘All Of You’ ‘Love For Sale’, ‘I Love Paris’등의 콜 포터의 곡들을 노래한 이 앨범이 아닐까 싶다. 버브 레이블에서의 첫 녹음이었던 이 앨범의 성공으로 이후 ‘Great American Songbook’작업이 이어질 수 있었기 때문이다. 실제 이 앨범은 지난 2000년 그래미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기도 했다.

Ella In Berlin (Verve 1960)

인기가 높아질수록 그녀는 미국은 물론 세계 곳곳에서 공연을 펼쳤다. 그 가운데에는 앨범으로 발매되기도 했다. 그 가운데 베를린 공연을 담은 이 앨범은 그녀의 보컬 역량이 정점에 있을 때 녹음된 것인 만큼 최고의 짜릿한 감흥을 들려준다. 이 앨범의 매력은 공연 실황인 만큼 즉흥성이 돋보인다. 특히 스캣 솔로시 찰리 파커의 ‘Ornithology’를 차용한‘How High The Moon’은 그녀가 남긴 최고의 스캣 솔로로 기억되고 있다. 그리고 갑자기 가사가 생각나지 않아 즉흥적으로 꾸며 노래하는 ‘Mack The Knife’도 인상적이다. 재즈사의 명 라이브 앨범 중 하나라 할 앨범이다.

댓글